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pandas
- 로맨스
- 습관
- QGIS
- python
- 커피
- 액션
- 가족
- 제임스 클리어
- 네이버
- 사랑
- geopandas
- 웹툰
- 만화 영화
- 이범선
- 영화
- 빅데이터 분석기사 필기
- 이기적 출판사
- 진심
- 넷플릭스
- 완결 웹툰
- 빅데이터 분석기사
- 네이버 웹툰
- 애니메이션
- 완결
- 제주도
- 산책
- 아주 작은 습관의 힘
- 네이버 완결 웹툰
- 서귀포
- Today
- Total
목록Data Science/강서구 빅데이터 활용 공모전 (6)
JuJuKwakKwak
드디어 발표 날이 다가왔다. 강서구청에 가서 발표했다. 발표하기 전까지는 아무렇지 않았다. 그러나 발표장에 들어갔고, 앉아있는 심사위원들을 보는 순간 얼었다. 긴장했다. 중간에 바로바로 발표 내용이 생각이 안 났지만, 대본에 있는 모든 내용을 다 말했다. 질문은 2개 받았다. 1) 재활용 수거함 개수가 부족한가요? 재활용 수거함에 대한 현황 분석이 드러나있지 않아서 아쉽네요. 2) 재활용 수거함을 더 설치한다고 해서 재활용 문제가 해결될까요? 설치 보다는 관리가 더 힘들어요. 발표 차례 기다리는 동안 공무원 분과 이야기 나누면서 공모전 심사 시스템 과정을 알게 되었다. 아이디어를 받는다 -> 그 아이디어와 관련된 부서로 보낸다 -> 각 부서에서 정말로 필요한 정책인지, 실현할 수 있는 정책인지 판단한다 ..
연락을 받았다. 15일 금요일까지 PPT와 요약서를 제출하라고. 깜짝 놀랐다. 그동안 아무런 연락이 없어서 떨어진 줄 알았다. 다행이고 감사하다. 그래서 다시 모임을 가지고 부랴부랴 준비하기 시작했다. 먼저, 인터넷에서 공모전 수상한 사례들을 조사했다. 어떤 식으로 PPT를 만들었는지 알아보았다. 알아본 결과, 시각화 자료가 많았다. 그래서 기존에 만들었던 PPT를 다시 보면서 어떻게 수정할지 이야기 나누고 기록했다. 왜 군집분석을 했는지, 왜 상관분석을 했는지에 대한 자세한 이유를 나누었다. PPT와 요약서를 제출했다. 발표 대본 초본을 공유했다. 발표 대본은 많이 수정했다. 왜냐하면 나는 PPT에 있는 내용을 읽는 것으로 준비했다. 그러나 PPT에 적혀 있는 글을 읽는다는 것은 발표가 아니라 낭독이라..
[1] 프로젝트 기획 소개 강서구 빅데이터 활용 공모전에 참가했다. 내가 속한 팀에는 나 포함해서 4명이다. 주제는 "강서구 자원순환을 위한 재활용 수거함 입지 선정" 이다. 이 주제를 고른 이유는 크게 4가지 이다. 1) 전 세계에서 재활용되는 쓰레기 비율이 낮다. 2) 한국도 재활용 비율이 낮다. 3) 강서구 인구 수는 줄어들고 있는데 쓰레기양은 증가하고 있다. 4) 강서구는 자원순환마을 만드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역할 먼저 다 같이 회의를 하면서 주제 분야를 정했다. 분야가 정해진 이후에는 역할을 4개 나누었다. → 분석개요 - 분석결과 - 결과해석 - 기대효과 나는 '결과해석'을 담당했다. [3] 프로젝트 수행 절차 및 방법 각자 맡은 부분을 먼저 작성해보고 앞으로..
각자 맡은 부분을 적었고 취합했다. 다시 회의한 결과, 분석 결과 부분에 내용을 더 자세히 다루어야 한다. 왜 상관분석, 군집분석을 했는 이유가 있어야 한다. 군집분석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 보고서를 화면 공유하고 팀원 모두가 꼼꼼히 읽어내려갔다. 결과 부분에는 '평서문'이 아니라 '명사형'으로 바꾸었다. 강조할 부분에는 굵은 표시를 했다. 새로운 사진 캡처에서 추가하고, 사진에 대한 설명을 썼다. 상당히 많은 공사가 일어났다. 어제 못한 부분을 수정했다. 또 새로운 사진을 추가했다. 마지막으로 강사님의 피드백을 받았다. 현재 강서구에서 어떻게 분리수거함을 설치하는지에 대한 조사 및 언급이 있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그래서 내일 오전에 공무원에게 전화할 예정이다. 마지막까지 포기하지 말자...

아직은 분석을 실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상상의 날개를 펼쳐서 결과에 대한 해석을 적었다. 그리고 쓰레기 관련 데이터를 막 수집했다. 주말 동안 조원 각자가 무엇을 해왔는지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분석개요 : 1인 노인 인구 데이터를 활용해서 쓰레기를 관리하는 인력 배치하는 아이디어 분석결과 : 2020년이 최신 자료인데 2021년 자료를 구할 수 있는지, 입지 선정할 때 어떤 알고리즘이 사용되는지 결과해석 : 동별로 유동인구를 파악할 수 있으나, 동 안에 세부적으로 주민 동선을 파악할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 활용방안 : 포리움 써서 쓰레기 배출 수거함에 대한 시각화 지도 시각화를 스스로 해보고 싶은 마음에 이미 다른 조원이 했던 코드를 따라쳐보았다. # 위도와 경도가 있는 데이터를 불러온다 import..

멤버 4명 결정 다음 주 월요일 아침까지 자료 조사하고 강사님의 피드백 받기 다른 팀과 주제가 겹치는 것에 걱정이 된다. 창의성 부분에서 점수를 많이 못 받을 것 같은 불안감이 든다. 현재 강서구에서 무엇이 문제가 있는지 파악해보기 마곡나루역에서 내려 서울식물원을 걸어보았다. 용기 없어서 시민들에게 질문하지 못했다. 마곡나루역 근처는 너무 잘 만들어졌다. 이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큰 불편이 없을 듯하다. 또 마곡나루역으로 갔다. 왜냐하면 가장 빨리 강서구 지역으로 갈 수 있는 역이 마곡나루역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음 약속 때문에 마곡나루역에 내리자마자 다시 집으로 돌아왔다. 그래도 이번에는 마곡광장을 살짝 구경했다. 2개의 아이디어로 모았음 : 주차장, CCTV 그런데 다른 팀에서도 CCTV로 정했음...